-
Product Management & UX [UX디자인의 프로세스] - 1단계 : Understanding UX디자인 프로세스는 생각보다 복잡하고 그렇게 즐겁지만은 않을 수 있습니다. 디자이너들은 UX디자인 프로세스들을 한 단계씩 거치고, 또 일부단계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디자인을 개선해 내게 됩니다. 여러분의 유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첫 번째 단계는 바로 그 과정에서 수반되는 것들을 아는 것이겠죠? UX디자인이란 무엇인지는 지난 포스팅들을 통해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. 다시 한번 상기하고 넘어가봅시다! UX는 사용자 경험의 줄임말이고, 유저(사용자)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. 사용자 경험은 감정, 감각, 그리고 물리적인 상호작용 모두를 포함하는 '느낌'의 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도널드 노먼에 의해 만들어진 이 말은 사용자의 모든 경험이 만족스럽고 쉬울 수 .. 더보기
-
Product Management & UX [UX디자인의 프로세스] - 2단계 : Research UX 디자인 프로세스 Understand - Research - 여러분의 디자인 프로젝트가 회사의 핵심 가치와 부합한다는 것을 판단한 후에는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을 겁니다. 이다음으로 해야 할 것이 바로 리서치(조사)입니다. 유저 리서치는 프로젝트의 중심축이 될 것 입니다. 여러분이 이 단계에서 발견하고 발굴하게 될 사항들은 전체 프로젝트가 나아가게 될 방향의 기반을 제공합니다. 디자이너로서 이 단계에서 범하게 될 가장 위험한 실수는 여러분의 가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믿고 밀고 나가는 것입니다. 좋은 유저 리서치에는 모든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뒤엎는 과정이 있습니다. 유저 리서치를 위한 몇 가지 좋은 방법을 소개합니다. #1대 1 인터뷰 이 방법은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타깃이 되는 .. 더보기
Product Management & UX
[UX디자인 스터디] #1 Genius : Bookify's reward program - Jonny Czar
안녕하세요! 훌륭한 UX디자이너들의 포트폴리오 케이스를 통해 공부를 차근차근 시작해보기 위해 UX case study라는 카테고리를 만들고 포스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 꾸준히 한 개 이상의 케이스를 참고하여, 서비스 개선에 대한 인사이트를 요약, 정리하는 포스팅을 게시할 예정입니다. 우선적으로 50 Essential UX Portfolios (2019 Edition) 에 포함된 50명의 UX 디자이너들의 케이스 스터디를 정리할 것입니다. UX 디자인에 관심있으신 모든 분들의 방문과 의견을 환영합니다! 그럼 첫 번째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. 첫 번째 디자이너는 브라질 출신의Jonny Czar입니다. 그의 포트폴리오 중에서 Bookify의 reward program을 구체화, 구현한 Genius에 대한..
더보기조화수 많은 글
-
[UX 스터디] What is User Flow? 작성일 : 2019. 10. 2. 15:20 # 유저 플로우가 뭘까? - 유저 플로우는 유저가 의미있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짚는 단계(과정)들을 말합니다. - 프로덕트 개발팀에서의 와이어프레임과 비슷한 특성을 갖습니다. # 그렇다면 와이어 프레임의 역할은 뭘까요? - 와이어프레임은 디자인 단계를 짚어볼 수 있는 좋은 도구인데요, 와이어프레임이 커버할 수 있는 것들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. ; low-fi mockups, blcokframes, interfacemonos, wires 까지 가능합니다. - 와이어프레임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! 1. Fast iterations : 아이디어 구현에 있어 디자이너와 디자이너가 아닌 팀원 모두가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바로 수정.. 더보기
-
[UX 스터디] 페르소나(Persona)는 어떻게 만들까? 작성일 : 2019. 9. 28. 15:36 페르소나란? 페르소나는 좀더 구체적인 타겟 유저를 설정하고 제품/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한 도구입니다. 이전 리서치를 통해 얻은 결과 ‘solid data’ 를 종합하여 페르소나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최소 5명이상의 유저 데이터가 필요한데, 수집된 데이터는 오버랩되기 때문에 그 속에서 패턴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. 유저의 니즈를 찾아내고 해결책을 빠르게 찾아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, 보통 4명 정도의 페르소나를 만들어내곤 합니다. 그렇다면 페르소나는 어떻게 만들어낼까요? How to create a Persona? Step1. 데이터를 면밀히 들여다 봅니다. - 유저인터뷰 단계와 같은 ‘발견’ 단계에서의 데이터를 자세히 보고, 가장 중요한 인사이.. 더보기
-
[브런치 스터디] 관리자 페이지 기획 출처_https://brunch.co.kr/@hyoi0303/8 [용어 정리] * 쿼리(Query)란 :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. 쿼리는 웹 서버에 특정 정보를 보여달라는 웹 클라이언트 요청(주로 문자열 기반)에 의한 처리임. 대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주제어나 어귀를 찾기 위해 사용됨. 주제어나 검색엔진의 검색 필드 내에 입력된 다음 그 내용이 웹 서버로 넘겨짐. * 프레임워크(Frame Work)란 : 일정 형태의 틀, 부품을 가지고 다양한 형태의 결과물을 만드는 것. 어떤 프로그램을 쉽게 만들기 위한 요소와 툴을 제공해 줌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역할을 함. [1단계] 필수 기능 분석 ✔ 사용자 입장에서 서비스를 직접 사용하고 기록해보기 : 외부 고객.. 더보기
-
GBS : Goal Based Scenarios 1. 정의 목표기반시나리오(GBS)는 사례기반학습(Case-based learning)과 수행학습(learning by doing)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. 따라서 교수설게자는 top-down 방식으로 설계를 하게 되는데, 목표를 하는 일련의 skill을 잡고나서 학습자가 GBS를 통해 그러한 skill을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. 반면, 학생은 GBS의 과정을 bottom-up으로 느끼게 되는데요, 학생들은 GBS 활동의 잘 짜여진 맥락과 구조를 따라가며 배우다보면 목표하는 skill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죠. 설계자는 다음의 6단계를 거치게 됩니다. 1. 목표하는 skill을 명확히 정하기 2. 목표 skill들을 배울 수 있는 미션 개발하기 : 미션은 skill들을 종합하여 낼 수 있는 결과적인 .. 더보기